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라이탁 파이썬
- 파이썬 설치하기
- Redis
- 동등성
- 깃허브 뱃지
- 깃허브 리드미 꾸미기
- 알고리즘 입력받는 값
- 깃허브 프로필
- 윈도우10에 파이썬 설치
- GitHub profile
- Sanner와 BufferedReader의 차이점
- Visual Studio Code 파이썬
- spring-boot-starter-parent
- 신규 프로젝트 생성후 빌드시 오류
- 깃허브 리드미
- 깃허브
- pip업그레이드
- 깃허브 방문자
- visual studio code
- 레디스
- 프라이탁
- 분산락
- 리드미 꾸미기
- Redisson
- 프라이탁 알림봇
- maven 오류
- 파이썬 pip
- 파이썬 설치
- hashcode
- setting.xm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1)
yeo72.devlog
❗️문제사항 : 프로젝트에서 API의 중복 호출로 인해 DB에 두번 insert되는 문제 발생 ❓ 문제 개요 : 가입 신청시 가입신청 API를 호출 -> apply_no를 파라미터로 join table에 저장 후 가입 승인/반려 시 apply_no를 조회하여 가입 신청내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데 여기서 두개 이상의 결과가 조회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오류 발생. 🔴 해결방안 DB unique key 설정 -> join 테이블의 apply_no 를 유니크 키로 설정하면 해당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api가 두번 호출되어 신청(apply) 테이블에는 해당 리소스가 두번 이상 들어가는 경우가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방법은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되지 못한다. java synchronized ->..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 의 특징 중 상속에 대해서 알아보고, 포함관계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 상속 상속이란 부모클래스로의 멤버를 자식클래스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식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멤버를 포함하여 더 많은 멤버를 가질수 있어 클래스를 확장 할 수있습니다. 이렇게 상속을 받으면 얻게 되는 장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Tv라는 클래스와 SmartTv라는 클래스가 있습니다. class Tv { int channel; int volumn; void on() { System.out.println("Tv를 켭니다"); } void off() { System.out.println("Tv를 끕니다"); } } class SmartTv..

자바언어의 장점은 어떤 환경(OS)에서도 실행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에비해 C언어나 C++ 같은 네이티브 언어들은 각각의 운영체제에 직접 컴파일 되어 실행되기 때문에 특정 운영체제에 종속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게 맞는 소스코드를 작성하여 컴파일 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차이점이 왜 나오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JVM(Java Virtual Machine) 에 있습니다. JVM은 직역하면 자바언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가상 머신(컴퓨터)입니다. JAVA언어로 작성된 코드는 컴파일러(Javac.exe) 가 바이트 코드로 변환하여 주는데 이 것을 '중간 언어' 라고 합니다. 각각의 운영체제에 맞는 JRE(자바 실행 환경)을 설치 하게 되면 JVM도 자동으로 설치되는데, 컴파일러가 변환시킨 바이트 코드..
두가지 모두 Java 에서 값을 입력 받는 데 사용되는 클래스이다 알고리즘을 풀기 위해서 입력받을 값을 사용할때 이 클래스들을 사용한다. 아래로는 두 클래스의 차이점과 어떤 클래스를 사용하는것이 유리할 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이점 scanner BufferedReader 입력받는 방식 공백, 개행등의 구분자 사용하여 값을 구분 한 줄씩 값을 구분 입력값의 형태 다양한 형태의 값(정수, 실수, 문자열 등등) 문자열 성능 상대적으로 느림 빠름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스캐너 객체를 생성 Scanner s = new Scanner(System.in) //정수형 변수 입력받기 int nu..
해당 포스팅은 Sprign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강의를 듣고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application.yml 설정 spring cloud 에서 discovery를 구성 Eureka Server 와 Eureka Client 두가지로 나누고 아래 설정은 Eureka 클라이언트와 Eureka 서버의 상호작용 방식을 지정한다. Eureka Server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fetch-registry Eureka 서버에 등록된 인스턴스의 목록을 가져와 로컬 캐시에 저장할지 말지 여부를 결정한다 register-with-eureka Eureka 서버에 등록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Eurek..

오류 로그 Project build error: Non-resolvable parent POM for spring-boot-starter-parent Could not find artifac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parent 오류 원인 신규 프로젝트 생성후 빌드시 오류 전역설정인 settiong.xml 을 해당 프로젝트에 제외시키기 회사 노트북으로 maven 신규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테스트로 빌드를 하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이유는 회사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서 .m2 폴더에 setting.xml 을 추가 했기 때문이다. 해당 파일에는 미러서버로 회사 nexus 서버에서 업무관련 라이브러리를 다운하고 있었다. .m2폴더는 자바에서 ..

#프탁봇 실행 def ft_bot(): global curr_items global new_src curr_items = new_src.copy() #프탁봇 주소 넣기 token = "5274933678:AAE8ly2W28ghf-n1SGdYEEjQdY2A35HASIs" bot = telegram.Bot(token) bot.send_message(5295081893,new_items[0]+"\n 상품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텔레그램을 설치하고 해당 알림봇의 토큰을 받아와서 실행시킨다 앞서 작성한 코드를 모두 작성하고 나면 이렇게 프로그램이 돌아가는데 처음에 돌릴때는 코드가 처음으로 업데이트 되기때문에 바로 프탁봇에 알림메세지가 온다 그러고 몇시간을 기다리니 이렇게 새로 업데이트 된 상품의 이미지코드가 알..
valueOf()함수와 toString() 함수는 둘다 String객체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두 함수의 결과는 같기 때문에 둘중 무엇을 써도 상관이 없지만 만약 변환시킬 객체가 null이라면 어떻게 될까요? valueOf() toString() 결과 "null" Error: NullPointException valueOf()함수는 "null" 이라는 항상 String 형태로 반환을 해주는 반면 toString() 함수는 NullPointException 에러코드를 띄웁니다
toCharArray() 문자열 str을 한 글자씩 쪼개서 char타입의 배열에 저장 👉예시 String 타입 -> Char배열 Char[] ch = str.toCharrArray(); Char 배열 -> String 1. String 생성자 - char배열을 String 생성자의 인자로 넣으면 String 타입으로 변환한다. String str = new String(ch); 2. String.valueOf() - () 안의 객체를 String객체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String str = String.valueOf(ch)

프탁봇은 지금 마지막 테스트 중이라 다음 게시글에 어떻게 완성되었는지 알려드릴게요 참고한 글은 👇 https://hyongdoc.tistory.com/415 https://judy-son.tistory.com/17 프라이탁 자체 내에서 새로고침을 계속 하거나 셀레니움으로 프로그램을 돌릴시 로봇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창이 뜨고 반복되면 막히게 됩니다 그래서 참고 글의 코드도 지금 실행이 안된다고 해서 로봇여부를 확인하는 우회코드를 추가하였습니다. try: shutil.rmtree(r"c:\chrometemp") #쿠키 / 캐쉬파일 삭제 except FileNotFoundError: pass subprocess.Popen(r'C:\Program Files\Google\Chrome\Application\chro..